[AWS] IP주소를 Domain로 Redirect 0. 들어가기 전에 이 글의 환경은 AWS EC2에 ubuntu18.04버전과 nginx를 사용하여 진행되었습니다. 도메인은 가비아 사이트에서 구매를 하였습니다. 도메인을 등록하지 않았으면 [AWS EC2를 도메인에 연결하기]을 참조하시면 됩니다. 이번 글은 URI로 IP가 주소가 입력되면 DNS로 바꿔주는(정확히는 Redirect) 과정에 대해 설명되어있습니다. 1. 과정 1. 설정파일을 확인한다. $ sudo vim /etc/nginx/nginx.conf 이 파일에서 include /etc/nginx/conf.d/*.conf; 가 있는지 확인한다. 추가 설정파일(.conf)을 conf.d에서 관리하기 위함이다. 없으면 입력해주고, 폴더까지 만들어주자..
[AWS] AWS의 도메인에 HTTPS 적용 1. 과정 기본적이 방화벽 설정을 해준다. Certbot을 설치한다. $ sudo add-apt-repository ppa:certbot/certbot $ sudo apt install python-certbot-nginx Nginx 서버 블록을 설정한다. $ sudo vim /etc/nginx/sites-available/your_domain 서버 블록이 설정이 되어있으면 위 명령어를 실행해서 server_name your_domain www.your_domain; 으로 설정되었는지 확인한다. 만약 안되어 있으면 위 내용처럼 고친 후 $ sudo nginx -t 로 테스트를 해주고 sudo systemctl reload nginx 으로 다시 시작해주면 된다...
[AWS] AWS EC2에 DNS 연결하기 0. 들어가기 전에 준비사항 : AWS EC2와 개인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도메인 저는 가비아에서 도메인을 구매해서 사용했습니다. 도메인 구입 사이트는 가비아, 후이즈 등 많은 판매 사이트가 있습니다. 1. 과정 Route 53에 접속한다. 호스트 영역 생성에 들어간다. 도메인은 이름은 발급 받은 도메인 이름을 사용하면 된다. 레코드를 생성한다. NS의 값은 나중에 네임서버에 입력해줄 값이다. 레코드이름은 www로 입력한 것으로 하나 만들어 주고 새롭게 만들어서 빈칸으로 만들어준다. 그러면 주소창에 www를 입력유무와 관계없이 내 서버로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생기는 레코드의 유형은 A유형인데, 나중에 https를 등록할 때 쓰인다. 값에 인스턴스의 EIP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