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1 컴퓨터 시스템 개요
1. 컴퓨터 하드웨어 종류
- 프로세서 - 계산하는 역할
- CPU, GPU
- 메모리 - 저장하는 역할
- 주 기억장치, 보조 기억장치
- 주변장치
- 키보드, 마우스, 모니터, 프린터 등
2. 프로세서(Processor)
- 컴퓨터의 두뇌 (중앙처리장치) 역할
- 연산 수행
- 컴퓨터의 모든 장치의 동작 제어
2.1 레지스터(Register)
- 프로세서 내부에 있는 메모리
- 프로세서가 사용할 데이터 저장
- 컴퓨터에서 가장 빠른 메모리
- 용도(전용, 범용), 사용자가 정보 변경 가능 여부(가시, 불가시), 저장하는 정보의 종류(데이터, 주소, 상태)로 구별할 수 있음
- 사용자 불가시 레지스터
- 프로그램 카운터(PC : Program Counter) : 다음에 실행할 명령어의 주소를 보관
- 명령어 레지스터(IR : Instruction Register) : 현재 실행하는 명령어를 보관
- 누산기(ACC : ACCumulator) :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
- 메모리 주소 레지스터(MAR)
- 메모리 버퍼 레지스터(MBR)
2.2 운영체제와 프로세서
- 프로세서에게 처리할 작업 할당 및 관리
- 프로세스 생성 및 관리
- 프로그램의 프로세서 사용 제어
- 프로그램의 프로세서 사용 시간 관리
3. 메모리(Memory)
-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기억 장치)
- 메모리의 종류
-
3.1 주기억장치(Main Memory)
- 프로세서가 수행할 프로그램과 데이터 저장
- 주로 DRAM
- 디스크 입출력 병목현상 해소
3.2 캐시(Cache)
- 프로세서 내부에 있는 메모리(레지스터가 코어에 더 가까이에 잇고 속도가 더 빠름)
- 메인 메모리의 입출력 병목현상 해소
- 캐시의 동작
- 캐시 히트(Cache hit) : 필요한 데이터 블록이 캐시에 존재
- 캐시에서 데이터 찾기 → 성공
- 캐시 미스(Cache miss) : 필요한 데이터 블록이 캐시에 없는 경우
- 캐시에서 데이터 찾기 실패 → 메인 메모리에서 데이터 블록(라인) 단위로 캐시에 올려둠 → 캐시에서 찾기 → 성공
- 캐시의 지역성 : 캐시가 작은 용량임에도 불구하고 효과적으로 빠른 이유
- 공간적 지역성(Spatial locality) : 참조한 주소와 인접한 주소를 참조
- 시간적 지역성(Temoral locality) : 한 번 참조한 주소를 곧 다시 참조
- 캐시 적중률과 밀접한 관련
- 캐시 히트(Cache hit) : 필요한 데이터 블록이 캐시에 존재
3.3 보조기억 장치
- 프로그램과 데이터 저장
- 프로세서가 직접 접근 X(메모리는 직접 접근이 가능) → 주기억장치를 거쳐서 접근
- 용량이 크고, 가격이 저렴
3.4 메모리와 운영체제
- 메모리 할당 및 관리
- 프로그램의 요청에 따른 메모리 할당 및 회수
- 가상 메모리 관리
4. 시스템 버스(System Bus)
- 하드웨어들이 데이터 및 신호를 주고 받는 물리적인 통로
- 데이터 버스
- 주소 버스
- 제어 버스
5. 주변 장치
-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제외한 하드웨어
- 입력장치
- 출력장치
- 저장장치
5.1 주변장치와 운영체제
- 장치드라이버 관리
- 인터럽트 처리
- 파일 및 디스크 관리
'CS > [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apter6 프로세스 동기화 & 상호배제 (0) | 2021.12.16 |
---|---|
Chapter5 프로세스 스케줄링 (0) | 2021.12.14 |
Chapter4. 스레드(Thread) (0) | 2021.12.09 |
Chapter3 프로세스 관리 (0) | 2021.12.07 |
Chapter2 운영체제 개요 (0) | 2021.12.02 |